금리 인상(2)
-
대세상승장
현재 신흥국의 지수를 나타내는 MSEMF를 보자 하락의 추세를 마무리하고 상승으로 가기위한 추세의 전환이라 생각된다. 브렉시트로이어진 세계 불안감을 각국의 기관과 정책들이 유동성을 공급한다고 하였는데 이는 2001년 9월에 발행하였던 911사태와 비슷한 그림을 그리고 있다. 911사태가 발생한 후 세계 각국의 경제적 충격 및 안정화를 위해서 '유동성'을 공급하기로 한적이 있다. 현재 의 모습과 몹시 흡사하다. 911당시의 463을 기점으로 930원을 간 후 중장기적으로 2085원을 기록한 코스피의 지수의 흐름이다. 현재 30년 만기 국채가격지수는 추세의 최상단의 부근이며 국채의 버블이 온 지점이라 생각된다. 국채가 여기에서 장기적으로 더 상승하기 힘들다고 판단되는바 국채의 하락은 안전자산인 채권에서 세계..
2016.07.11 -
FED 금리 인상과 중국
7년동안 거의 제로 금리에 가까웠던 미 기준금리가 사실상 인상 할 것으로 보인다. 그에 따라 시장은 반응해왔고 17일 새벽 3시경으로(한국시간 기준) 확실한 결론이 날 듯 보인다. 이번 금리 인상의 경우 2006년 이후 9년 만에 통화 활대 정책을 긴축으로 바꾸는 셈이다. 현실적으로 전문가들이 아직 미 금리 인상이 이르다고 하는 사람도 많으나 돈의 바탕으로 둔 시장이기에 각자의 이익 대변을 위해 하는 것일 수도 있다. 현재 미국 물가상승률은 목표치를 하회하고 있으며 임금 증가율도 낮은 수준에 있지만 지난 의장의 멘트에서 시장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인상을 언급하였고 이번에는 시장에서도 어느정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있는 듯이 보인다. 중요한 것은 이번 발표에서 '금리 인상 확정' 부분이 아니라 ..
2015.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