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4)
-
파월 FOMC 회의 결과와 시장의 반응
FOMC 회의가 있었다. 아래 내용이 파월이 이야기한 전문이다. The Federal Reserve is committed to using its full range of tools to support the U.S. economy in this challenging time, thereby promoting its maximum employment and price stability goals. The coronavirus outbreak is causing tremendous human and economic hardship across the United States and around the world. The virus and the measures taken to protect public h..
2020.06.13 -
대만 환율과 대만 지수
한국의 파생상품 시장은 세계 시장에서 봤을 때 큰 규모입니다. 11년도부터 하락하긴했으나 세계 1위 거래단위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한국의 약간의 기형적(?)인 파생시장의 규모로인해 지수가 파생상품에 의해 움직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대만같은 경우에는 다릅니다. 환율의 상승과 하락에 따른 대만지수의 상승과 하락이 100%는 아니더라도 거의 역의 관계로 흘러 가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http://galnong.tistory.com/93 윗글에 있는 환율 하락에 따른 외국인의 투자를 유추 할수 있는 지표로 저는 활용하고 있습니다. 주식은 대응일까요? 주식은 데이터 및 경험을 통한 예측일까요? 우연한 겐또일까요? 한국의 코스피처럼 대만도 왜 신고가로 가고 있을까요?
2017.06.14 -
달러인덱스와 코스피
달러 인덱스 하락시 코스피 지수는 어떻게 흘러 갔는지 달러 인덱스 상승시 코스피 지수는 어떻게 흘러 갔는지 왜 지금 코스피가 대세상승장이 펼쳐지고 있는 것인가? 그것은 달러 인덱스 하락에 따른 원달러 환율 하락에 있다 보인다. 환율 하락시 수출이 많은 우리나라 기업들에게는 안좋을 것이라는 편견은 http://cafe.naver.com/turncafe/35 조금 다른 이야기이지만 기준금리 인상시기의 한국 수출로 설명을 드렸다 생각합니다. 환율 하락시 중장기적 상승장이 펼쳐질 수 있는 수급 구조는 외국인의 신흥국 투자로 이어질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 외국인의 한국 환율의 하락을 예상 2. 1달러에 1000원으로 바꾸어 한국 시장에 투자 3. 1000원으로 여러가지 수단에 투자 (주식)..
2017.06.14 -
환율과 경제 그리고 코스피 지수
환율이 상승이 과연 기업들에겐 좋은 결과로 이어질까? 보통 환율의 상승 -> 수출하는 기업(한국의 경우) 환차익 가능 (1달러랑 1000원이 환율 상승으로 1200원이 될 것이기 때문)에 좋아 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실질적으로 과거를 보면 그렇지 않다. 한국의 수출과 USD/KRW 즉 환율(YOY)의 대한 비교입니다. 한국의 수출어 드는 시기는 환율이 올라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간단히 생각해보면 한국의 환율이 올라 간다는 것은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는 것입니다.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는 것은 화폐의 경쟁력이 약해 진다고도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그 화폐를 이용하고 있는 기업들의 경쟁력도 나빠지게 됩니다. 국가 경쟁력의 지표로 볼 수 있는 화폐가 약해지면 기업들도 약해집니다..
2017.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