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닥(2)
-
다우 지수 / 금 비율로 보는 현재의 시기
현재 시장은 유동성이 어디로 흘러가야 할 것인지 판단하기 힘든 곳으로 변하고 있다. 안전 자산이라는 미국 채권이 가격은 계속 오르고 있으며 금도 오르고 있고 미국 주가 지수 다우/S&P/나스닥도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다. 과연 현재 시기는 어떤 위치로 판단해야 할 것인가? 가장 쉽게 접근해볼 수 있는 차트로 설명해보고자 한다. 바로 다우 지수와 금의 비율로 보는 현재의 위치이다. 변동폭을 좀더 보기 위해 로그 스케일을 적용한 차트이다. 현재 위치가 고점을 위치로 판단이 된다면 총 4번의 봉우리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1929 / 1966 / 1999 / 2018년 봉우리를 만들고 내려오고 있는 듯한 모습이다. 위의 차트는 다우지수의 100년 간의 모습이다. 좀 더 비교를 쉽게 하기 위해서 로그 비적용 / ..
2020.05.24 -
미국 기준금리와 주가의 관계
보통 시장 참여자들이 언론에 노출되고 경제학에서 배운 것과 아주 상이한 부분이 금리 부분입니다. 금리가 올라가면 대출받은 사람들이 이자 부담으로 인해 부동산을 매도하여 주택 가격이 떨어질 것이라 생각하고, 은행의 이자가 높아지니 주식에 투자 된 돈들이 은행으로 흘러 들어가 주식시장의 자금이 유출이 되어 주식 시장이 안좋아 질것이라 생각하는 부분입니다. 이 글에서는 그 부분에 대해서 DATA를 통해 역사적 사실들에 대해 검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의 기준 금리 우선은 짧은 구간(최근 17년)의 흐름을 보게되면 2001년부터 기준금리 인하 그리고 2004년 부터 기준 금리 인상 2007년부터 다시 기준 금리 인하 후 2008년부터 거의 '제로'에 가까운 기준 금리를 6~7년간 유지하다 최근에 들어서 약간..
2017.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