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6)
-
부채가 만들어준 자산시장 그리고 위험한 지금
첫글 제목이 자극적이긴 하지만 실제로 우리는 지금 부채로 이루어진 경제를 살고 있다. 이 부채라는 것의 기준이 되는 것은 '금리'이며 이 금리의 조절로 '경기 순환 사이클'을 조절하여 왔다. 경기가 과열되고 있을때는 선제적으로 금리 인상을하기도하며 과열이 올 경우도 금리 인상을 통해 조절해왔으며 반대로 경기가 침체되고 있을때 또는 침체가 오기전 금리 인하를 통한 '순환'의 사이클을 만들어 왔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 금리는 코로나 또는 경기 침체로 금리인하를 최근 진행하여 더이상 내릴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으며 달러 유동성 공급을 위한 각국의 통화 팽창 정책으로 인하여 부채가 쌓을수 있는 경제의 끝자락에 온것으로 판단한다. 1980년 금리를 정점으로 지속적으로 금리 인하/금리 인상을 하여 '경기 순환'사이클..
2020.05.16 -
원자재/코스피 그리고 BDI 그리고 팬오션
한국 증시 중 특히 코스피는 원자재의 가격의 흐름에 상당히 민감한 영향을 받는다. 경기가 글로벌로 확장되고 수축되는 과정에서 코스피의 상장되어있는 경기민감주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경기 상승시와 하락시에 민감한 영향을 받게된다. 그중 특히 구리 가격이 민감한 영향도를 미치고 있음을 알수 있다. 구리 가격의 경우 경기 회복기에 건설 경기 회복 및 기타 수요에 의한 가격이 상승하게되면 경기 팽창 국면으로 접어들기 때문으로 보인다. 위의 챠트에서 캔들로 표시면 된것이 구리 차트인데 구리 가격 하락시 와 상승시에 코스피 지수가 상당히 영향을 많이 받고 있음을 알수 있다. 코스피 지수의 경우 외인의 환차익에 따른 환율 변동성으로 수급구조가 변하긴 하지만 장기로 보게 되었을때 수급적인 면모도 있겠지만 원자재..
2018.10.17 -
장단기 금리차 그리고 코스피
장단기 금리차 우선 시장 참여자들 또는 채권 투자자들의 투자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하다. 그런데 단기 금리라는 것과 장기 금리 라는 것에 있어서 역전이 나타나는 현상을 최근 이야기를 하고 있다. 10년이상 채권중에서 10년물 채권의 모습이며 단기로 채권물 중에서 2년물 채권의 모습이다 보통 단기적인 경제 상황이 좋다고 보일때 단기 채권이 올라가기 시작하며 장기적으로 경제 상황이 좋다고 보일때 장기 채권물도 올라가는 것이 일반적인 시장에서 통용되는 견해이다. 그런데 단기 채권이 계속 올라가고 장기 채권이 올라가지 않는다면 어떤 의미 일까? 단기적으로는 시장이 좋지만 장기적으로는 경기 상황이 좋지 않다고 보고 있는 상황을 반영한다. 그래서 단기 채권이 계속 오르지만 장기 채권이 오르지 않아 금리가 역전..
2017.11.18 -
달러인덱스와 코스피
달러 인덱스 하락시 코스피 지수는 어떻게 흘러 갔는지 달러 인덱스 상승시 코스피 지수는 어떻게 흘러 갔는지 왜 지금 코스피가 대세상승장이 펼쳐지고 있는 것인가? 그것은 달러 인덱스 하락에 따른 원달러 환율 하락에 있다 보인다. 환율 하락시 수출이 많은 우리나라 기업들에게는 안좋을 것이라는 편견은 http://cafe.naver.com/turncafe/35 조금 다른 이야기이지만 기준금리 인상시기의 한국 수출로 설명을 드렸다 생각합니다. 환율 하락시 중장기적 상승장이 펼쳐질 수 있는 수급 구조는 외국인의 신흥국 투자로 이어질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 외국인의 한국 환율의 하락을 예상 2. 1달러에 1000원으로 바꾸어 한국 시장에 투자 3. 1000원으로 여러가지 수단에 투자 (주식)..
2017.06.14 -
환율과 경제 그리고 코스피 지수
환율이 상승이 과연 기업들에겐 좋은 결과로 이어질까? 보통 환율의 상승 -> 수출하는 기업(한국의 경우) 환차익 가능 (1달러랑 1000원이 환율 상승으로 1200원이 될 것이기 때문)에 좋아 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실질적으로 과거를 보면 그렇지 않다. 한국의 수출과 USD/KRW 즉 환율(YOY)의 대한 비교입니다. 한국의 수출어 드는 시기는 환율이 올라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간단히 생각해보면 한국의 환율이 올라 간다는 것은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는 것입니다.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는 것은 화폐의 경쟁력이 약해 진다고도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그 화폐를 이용하고 있는 기업들의 경쟁력도 나빠지게 됩니다. 국가 경쟁력의 지표로 볼 수 있는 화폐가 약해지면 기업들도 약해집니다..
2017.06.06 -
코스피 / 코스닥 종목코드
분류코드종목명코스피095570AJ네트웍스코스피068400AJ렌터카코스피006840AK홀딩스코스피027410BGF리테일코스피138930BNK금융지주코스피001460BYC코스피001040CJ코스피079160CJ CGV코스피000120CJ대한통운코스피011150CJ씨푸드코스피097950CJ제일제당코스피037560CJ헬로비전코스피000590CS홀딩스코스피139130DGB금융지주코스피004840DRB동일코스피155660DSR코스피069730DSR제강코스피017940E1코스피007700F&F코스피114090GKL코스피078930GS코스피006360GS건설코스피001250GS글로벌코스피007070GS리테일코스피001500HMC투자증권코스피011420IB월드와이드코스피175330JB금융지주코스피001060JW중외제약코..
2015.12.12